협회설립목적 및 연혁
환경과 미래를 생각하는 KPPC
협회 설립목적
(정관 제2조)
본 협회는 플라스틱포장용기의 효율적인 이용과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올바른 이해의 폭을 넓히고, 플라스틱 포장용기 관련 업체의 권익을 증진시키며, 플라스틱 포장용기로 발생하는 환경문제 해결에 적극 참여하여 환경보전과 국민경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협회연혁
2019
9월
PSP 분과위원회 설립
*위원장 ㈜이테크 한봉수 대표이사
5월
배달/테이크아웃 식품포장용기 분과위원회 설립
*위원장 ㈜지원 김영철 대표이사
전체회의 2회 개최, 운영위원 회의 5회 개최
PET시트 분과위원회 설립
*위원장 동성화학공업(주) 이재형 부사장
전체회의 2회 개최, 운영위원 회의 4회 개최
2월
제25회 정기총회 개최 제8대 석용찬회장 취임
PSP 분과위원회 설립
*위원장 ㈜이테크 한봉수 대표이사
5월
배달/테이크아웃 식품포장용기 분과위원회 설립
*위원장 ㈜지원 김영철 대표이사
전체회의 2회 개최, 운영위원 회의 5회 개최
PET시트 분과위원회 설립
*위원장 동성화학공업(주) 이재형 부사장
전체회의 2회 개최, 운영위원 회의 4회 개최
2월
제25회 정기총회 개최 제8대 석용찬회장 취임
2018
11월
플라스틱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산업계 선언문 선언 (한국석유화학협회, 한국프라스틱공업협동조합연합회, 한국플라스틱포장용기협회)
8월
PET 시트/용기 생산업체 회의
7월
플라스틱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설립 및 참여(한국석유화학협회, 한국프 라스틱공업협동조합연합회, 한국플라스틱포장용기협회)
1월
합성수지 식품포장용기 자율안전마크 제도 시범사업 시행
2017
10월
제52회 한국포장학회 추계학술대회 주제 발표 : 합성수지 식품포장용기 자율안전마크 제도에 대해
10월
합성수지 식품포장용기자율안전마크 특허 등록
9월
‘1회용품 재활용 불가능한가’라는 주제의 정책 토론회 개최(문진국 국회의원과 공동개최)
극동플라스틱업계회의 참가
7월
1회용품 정책 개선을 위한 포럼 참여
제52회 한국포장학회 추계학술대회 주제 발표 : 합성수지 식품포장용기 자율안전마크 제도에 대해
10월
합성수지 식품포장용기자율안전마크 특허 등록
9월
‘1회용품 재활용 불가능한가’라는 주제의 정책 토론회 개최(문진국 국회의원과 공동개최)
극동플라스틱업계회의 참가
7월
1회용품 정책 개선을 위한 포럼 참여
2016
11월
합성수지 식품포장용기 자율안전마크 제도 시행을 위한 업계 설명회 개최
10월
제41회 극동플라스틱업계 컨퍼런스 참가
6월~12월
‘1회용품 제도개선 전문가 포럼’ 참가
4월
우리나라 플라스틱 필름‧시트 산업동향 책자 발간
2016 국제포장기자재전 참가
3월
일본 폴리올레핀등위생협의회 방문, 일본 FP Co. 생산공장 방문
1월~12월
합성수지 식품포장용기 자율안전관리제도 도입을 위한 연구 추진
1월
농림축산식품부의 ‘과일난좌 종이전환 지원 시범사업’ 부당성에 대한 협회 의견 제시
합성수지 식품포장용기 자율안전마크 제도 시행을 위한 업계 설명회 개최
10월
제41회 극동플라스틱업계 컨퍼런스 참가
6월~12월
‘1회용품 제도개선 전문가 포럼’ 참가
4월
우리나라 플라스틱 필름‧시트 산업동향 책자 발간
2016 국제포장기자재전 참가
3월
일본 폴리올레핀등위생협의회 방문, 일본 FP Co. 생산공장 방문
1월~12월
합성수지 식품포장용기 자율안전관리제도 도입을 위한 연구 추진
1월
농림축산식품부의 ‘과일난좌 종이전환 지원 시범사업’ 부당성에 대한 협회 의견 제시
2015
11월
한국패키징단체총연합회 설립
5월
협회 홈페이지 제작
한국패키징단체총연합회 설립
5월
협회 홈페이지 제작
2014
12월
‘플라스틱 진공성형 식품용기’를 중소기업적합업종․품목 지정을 위한 활동
– 동반성장위원회에 신청서 제출
10월
일본 플라스틱식품용기공업회 방문 및 간담회 개최
7월
협회 단체보험 사업 추진 : 비발포압출/성형제조업체
6월~9월
플라스틱 포장용기 시장동향 및 시장규모 파악 위한 실태조사 수행
4월
장례식장 1회용품 회수․재활용사업 시스템 구축(9월 시범사업 추진)
상례 1회용품 사용줄이기․재활용촉진 자발적협약” 체결
(환경부, 서울소재 20개 장례식장, 소비자단체, 포장용기협회 등)
1월~12월
플라스틱 생산․사용․재활용 실태조사 사업 수행
‘플라스틱 진공성형 식품용기’를 중소기업적합업종․품목 지정을 위한 활동
– 동반성장위원회에 신청서 제출
10월
일본 플라스틱식품용기공업회 방문 및 간담회 개최
7월
협회 단체보험 사업 추진 : 비발포압출/성형제조업체
6월~9월
플라스틱 포장용기 시장동향 및 시장규모 파악 위한 실태조사 수행
4월
장례식장 1회용품 회수․재활용사업 시스템 구축(9월 시범사업 추진)
상례 1회용품 사용줄이기․재활용촉진 자발적협약” 체결
(환경부, 서울소재 20개 장례식장, 소비자단체, 포장용기협회 등)
1월~12월
플라스틱 생산․사용․재활용 실태조사 사업 수행
2013
9월
“식품 등의 표시기준” 일부 조항 개정 요청(식약처)
* 2014년 개정
7월
“자원절약법률” 개정(안) 발의(1회용품 사용규제 강화)에 대한 대응
5월
2013년 국제포장전시회(KOREA PACK) 참가
2월
플라스틱재활용대책협의회 위탁사업 추진
– 플라스틱 생산․사용․재활용 통계조사 사업 수행(‘13~`14년)
연중
플라스틱재활용대책협의회 활동(제11~12차 회의)
“식품 등의 표시기준” 일부 조항 개정 요청(식약처)
* 2014년 개정
7월
“자원절약법률” 개정(안) 발의(1회용품 사용규제 강화)에 대한 대응
5월
2013년 국제포장전시회(KOREA PACK) 참가
2월
플라스틱재활용대책협의회 위탁사업 추진
– 플라스틱 생산․사용․재활용 통계조사 사업 수행(‘13~`14년)
연중
플라스틱재활용대책협의회 활동(제11~12차 회의)
2012
10월
2012년 서울국제포장전시회 참가
일본 전국프라스틱식품용기공업조합과의 간담회 개최
6월
분리배출표시제도 적용 유예기간 연장 합의 및 개선방안 건의
연중
플라스틱재활용대책협의회 활동(제8~10차 회의)
2012년 서울국제포장전시회 참가
일본 전국프라스틱식품용기공업조합과의 간담회 개최
6월
분리배출표시제도 적용 유예기간 연장 합의 및 개선방안 건의
연중
플라스틱재활용대책협의회 활동(제8~10차 회의)
2011
5월
2011년 한국국제포장기자재전 전시회 참여
3월
일본 성형업체 및 식품용기공업조합 방문(방문단 구성)
1~12월
합성수지 원료 우선/공동구매사업 추진
3~12월
석유화학․플라스틱 산업 동반성장협의회 참여
2011년 한국국제포장기자재전 전시회 참여
3월
일본 성형업체 및 식품용기공업조합 방문(방문단 구성)
1~12월
합성수지 원료 우선/공동구매사업 추진
3~12월
석유화학․플라스틱 산업 동반성장협의회 참여
2010
11월
2010년 서울국제포장기자재전 전시회 참여
6월
중소기업청 시행 “2010년 중소기업 과제발굴연구 사업” 수행
2010년 한국국제포장기자재전 전시회 참여
2010년 서울국제포장기자재전 전시회 참여
6월
중소기업청 시행 “2010년 중소기업 과제발굴연구 사업” 수행
2010년 한국국제포장기자재전 전시회 참여
2009
7월
중소기업청 시행 “2009년 중소기업 과제발굴연구 사업” 수행
5월
2009년 한국국제포장기자재전 전시회 참여
중소기업청 시행 “2009년 중소기업 과제발굴연구 사업” 수행
5월
2009년 한국국제포장기자재전 전시회 참여
2008
6월
합성수지 포장재 사용규제 제도 일부 조항 개정 요청
– 1회용 합성수지 도시락 용기 사용규제 조항 폐지
5월
2008년 한국국제포장기자재전 전시회 참여
합성수지 포장재 사용규제 제도 일부 조항 개정 요청
– 1회용 합성수지 도시락 용기 사용규제 조항 폐지
5월
2008년 한국국제포장기자재전 전시회 참여
2007
2월
08년도 상반기 PLA 할당관세 추천기관 지정(산업자원부)
6월
07년도 하반기 PLA 할당관세 추천기관 지정(산업자원부)
2월
제13회 정기총회 개최 제5대 석용찬회장 취임
08년도 상반기 PLA 할당관세 추천기관 지정(산업자원부)
6월
07년도 하반기 PLA 할당관세 추천기관 지정(산업자원부)
2월
제13회 정기총회 개최 제5대 석용찬회장 취임
2006
12월
플라스틱포장용기 품목의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 직접구매 대상 품목 지정 (중소기업청)
07년도 상반기 PLA 할당관세 추천기관 지정 (산업자원부)
1월
06년도 PLA 할당관세 추천기관 지정 (산업자원부)
플라스틱포장용기 품목의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 직접구매 대상 품목 지정 (중소기업청)
07년도 상반기 PLA 할당관세 추천기관 지정 (산업자원부)
1월
06년도 PLA 할당관세 추천기관 지정 (산업자원부)
2004
9월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전과정환경평가(LCA평가) 연구 수행
2월
제10회 정기총회 개최, 제4대 석용찬 회장 취임,
협회 명칭 (사)한국플라스틱포장용기협회로 변경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전과정환경평가(LCA평가) 연구 수행
2월
제10회 정기총회 개최, 제4대 석용찬 회장 취임,
협회 명칭 (사)한국플라스틱포장용기협회로 변경
2003
6월
플라스틱포장용기 사용규제에 대한 부당성 제기 – 헌법소원 청구
플라스틱포장용기 사용규제에 대한 부당성 제기 – 헌법소원 청구
2002
6월
KRS 시범공장 운영을 비롯한 재활용시스템 업무를 한국플라스틱리사이클링협회로 이관
3월
폐기물 회수, 재활용 기반 구축에 관한 합의서(V.A협정) 서명
– 기금조성(석유화학협회 100억, 플라스틱조합/재활용협회 20억 조성)
* (사)한국플라스틱리싸이클링협회 설립 기초 마련
1월
플라스틱 재활용 문제 해결을 위한 ‘플라스틱재활용대책협의회’ 구성 (V.A 협정 예비회담 (한국석유화학협회, 플라스틱조합, 재활용협회)
KRS 시범공장 운영을 비롯한 재활용시스템 업무를 한국플라스틱리사이클링협회로 이관
3월
폐기물 회수, 재활용 기반 구축에 관한 합의서(V.A협정) 서명
– 기금조성(석유화학협회 100억, 플라스틱조합/재활용협회 20억 조성)
* (사)한국플라스틱리싸이클링협회 설립 기초 마련
1월
플라스틱 재활용 문제 해결을 위한 ‘플라스틱재활용대책협의회’ 구성 (V.A 협정 예비회담 (한국석유화학협회, 플라스틱조합, 재활용협회)
2001
3월
제3대 권태문 회장 취임
제3대 권태문 회장 취임
2000
8월
KRS(Korea Recycle System)의 RDF 생산 시험가동 완료
KRS(Korea Recycle System)의 RDF 생산 시험가동 완료
1999
5월
제2대 오원석 회장 취임
제2대 오원석 회장 취임
1996
9월
서울 성동구청 PE봉투 분리수거 시범사업 실시
6월
일본 가와사끼 중공업과 RDF 사업 기술 도입, 계약 체결
서울 성동구청 PE봉투 분리수거 시범사업 실시
6월
일본 가와사끼 중공업과 RDF 사업 기술 도입, 계약 체결
1995
2월
(사)한국플라스틱재활용협회 설립 : 초대회장 이국노 취임
(사)한국플라스틱재활용협회 설립 : 초대회장 이국노 취임